CNET Korea뉴스인터넷

美, 틱톡 퇴출 시한 임박…주말까지 매각 안 되면 금지

트럼프 "틱톡 지키고 싶다"…매각 기한 재연장 가능성도 제기

(사진=CNET)

(씨넷코리아=황진영 기자) 미국 씨넷은 1일(현지시간) 플랫폼 틱톡(TikTok)이 오는 4월 5일까지 미국 내 금지를 피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승인한 기업에 매각돼야 하는 기한을 앞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한까지 매각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 미국 정부는 틱톡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하고, 웹사이트 접속 차단 등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된다.

이번 조치는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핵심 알고리즘을 통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법률에 근거한 것으로, 2023년 미국 의회를 초당적으로 통과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했다. 원래 매각 시한은 올해 1월 19일이었으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한 차례 연기돼 현재의 시한이 설정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틱톡에 대한 관심이 매우 크다”며 “틱톡이 계속 살아남기를 바란다”고 말하고, “필요하다면 매각 기한을 다시 연장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는 또한 미국 정부가 네 개의 인수 후보 그룹과 협상 중이라고 덧붙였으며, 이달 초에는 “곧 거래가 타결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씨넷에 따르면 유력한 인수 후보로는 억만장자 투자자 프랭크 맥코트가 이끄는 컨소시엄이 꼽힌다. 이 컨소시엄에는 ‘샤크탱크’의 케빈 오리어리와 레딧 공동 창업자인 알렉시스 오하니안 등도 포함돼 있으며, 인수 이후에는 틱톡을 중독적인 알고리즘이 아닌, 사용자가 콘텐츠와 데이터 사용 방식을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으로 재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다.

한편 틱톡과 중국 정부는 매각에 반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입장이 최근 바뀌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틱톡 대변인은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고 있다. 틱톡은 줄곧 자신들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으며,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고 주장해왔다.

정치권에서도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민주당 상원의원 3명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금지 조치 시행을 막기 위한 협조를 요청하며, 의회와 협력해 해결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앞서 지난해 금지 연기 법안을 발의했으나, 공화당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했다. 여야 모두 틱톡이 국가 안보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는 공감하지만, 접근 방식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씨넷은 이번 사안은 단순한 기업 매각을 넘어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주도권 및 정보 안보 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연장선으로, 향후 틱톡의 행보와 미중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고 전했다.

황진영 기자hjy@cnet.co.kr

빠르고 정확한, 독자를 위한 기사를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