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ET Korea뉴스비즈니스

韓 기업, 경제 성장 위해 스킬 기반 전략 채택···워크데이 결과 발표

한국 비즈니스 리더 80%, 스킬 기반 조직으로의 전환이 경제 성장 잠재력을 크게 높인다고 믿음

워크데이 본사 이미지 (사진=워크데이)

(씨넷코리아=신동민 기자) 워크데이(NASDAQ: WDAY)는 『글로벌 스킬 현황 보고서(The Global State of Skills)』를 발표하며, 한국의 비즈니스 리더들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스킬 기반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한국의 대다수(80%) 리더들은 스킬 기반 조직으로의 전환이 경제 성장 잠재력을 크게 향상시킨다고 믿고 있으며, 기본적인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더 높은 수준의 혁신과 창의성을 꼽았다. 스킬 격차와 미래의 인재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기업들은 직책, 학위, 이전 근무 이력에 중점을 두는 전통적인 인재 관리 접근 방식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다. 대신, 기업들은 스킬 기반 인재 전략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개인의 능력을 전통적인 자격보다 우선시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더욱 민첩한 인재 배치와 데이터에 기반한 인사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스킬 기반의 전략으로의 전환은 AI의 부상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AI가 산업 전반을 변화시키면서, 국내 기업들이 이러한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 AI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업무 현장에서의 스킬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AI는 이러한 전환을 촉진하는 촉매제이자 조력자로 작용하고 있다. AI의 도입으로 직무가 변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이를 통해 더욱 민첩한 스킬 기반의 인력을 구축하고 있다. 국내 리더들은 AI를 활용하여 스킬 기반 인력으로 전환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잠재적 이점으로 일상적인 업무의 간소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65%)을 꼽았다.

이를 통해 직원들은 보다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되며, 기업이 스킬 기반 접근 방식의 잠재력을 온전히 실현하고 비즈니스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응섭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은 "국내 기업의 리더들은 AI 시대를 맞이하여 경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스킬 기반 전략의 힘을 인식하고 있다"며, "기업은 스킬을 우선시하고 AI를 활용하여 일상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기업의 생산성 및 혁신 수준을 또 한단계 성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환을 위해서는 리스킬링(Reskilling)에 대한 역량 집중과 직원들이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명확한 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스킬 우선의 사고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국내 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업무 환경을 헤쳐 나가고 디지털 경제 시대에 사업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킬 기반 전략의 추진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비즈니스 리더들은 직원 리스킬링에 필요한 시간(48%)이 가장 큰 도전 과제라고 언급했다. 그 다음으로는 변화에 대한 저항(44%)이 주요 장애 요인으로 지적됐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술만으로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이러한 도전 과제를 극복하려면 사고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혜택에 대한 명확한 커뮤니케이션(60%)과 직원들의 지원 및 참여(50%) 유도가 조직 내 채택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신동민 기자shine@cnet.co.kr

다양하고 흥미로운 기사를 찾아 재미있게 전달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