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12인치 맥북]새로운 노트북 시대를 여는 발칙한 서곡

The GOOD 디자인 하나로도 충분히 매력적, 역대 최고의 디자인

The BAD 익숙치 않은 키보드 키감, 비교적 부족한 배터리 사용시간

한줄평 무선 환경에 딱 맞춘 최경량 노트북

8.3 Overall
  • 성능 7
  • 디자인 10
  • 배터리 사용시간 8
  • 기능 8

(씨넷코리아=봉성창 기자) 인기 헐리우드 영화 시리즈 중에는 ‘비긴즈’라는 부제를 단 작품이 있다. 일본식으로 표현하면 ‘영식’ 쯤 될까. 어떤 이야기의 시작점을 다룰 때 보통 붙이는 표현이다.

애플이 지난 3월 9일 출시된 ‘맥북’이 정확히 그런 느낌이다. 어떤 수식어도 붙지 않은 그냥 ‘맥북’이다. 일부에서는 구분을 위해 12인치 맥북이라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공식 명칭은 ‘맥북’이다. 이같은 작명은 애플이 지향하는 순수한 맥북 그 자체에 가장 근접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맥북’은 인텔 코어M 프로세서가 장착됐다. 타 업체 코어M 제품과 마찬가지로 냉각팬이 없어 더 얇고 가볍게 설계됐다. 디스플레이 크기는 12인치이며 226ppi 집적도를 가진 2304×1440 해상도를 가진다. 애플은 맥북 제품의 경우 시청 거리를 감안해 200ppi가 넘는 디스플레이를 특별히 ‘레티나 디스플레이’라고 부른다.

메모리는 8GB 1600MHz LPDDR3이며, 저장타입은 PCIe 기본 플래시 저장장치로 256GB부터 시작한다. 디스플레이는 12인치지만 가로, 세로 크기는 11인치 맥북 에어와 유사한 수준인 가로 28.05cm, 세로 19.65cm이며 두께는 최대 1.31cm다. 그래픽 처리는 인텔 HD그래픽스 5300이 담당한다. 이밖에 480P 페이스타임 카메라가 달렸다.

키보드는 애플이 새롭게 설계한 펜타그래프 방식이며, 압력을 감지하는 포스터치 트랙패드가 새롭게 채용됐다. 확장단자는 오직 USB 3.1 타입C 1개와 이어폰 및 헤드폰을 연결할 수 있는 스테레오 단자 1개 뿐이다. 가격은 CPU 속도 및 저장공간에 따라 159만원과 199만원으로 책정됐으며, 옵션 변경(CTO)은 제공되지 않는다. 색상은 기존 실버 이외에 맥북 계열 제품 중 유일하게 골드와 스페이스그레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성능과 휴대성 그리고 배터리 사용시간

맥북 라인업은 지금까지 크게 휴대성을 중시한 에어와 성능을 중시한 프로로 나뉘었다. 여기에 맥북이 새롭게 가세했다. 맥북은 에어를 뛰어넘는 휴대성을 가지면서, 프로 계열의 특징인 고해상도 디스플레이가 장착됐다. 즉, 에어와 프로가 가진 최고의 장점을 모두 취했다는 이야기다.

노트북 세계에서는 얻는 것이 있으면 내줘야하는 것이 있다. 맥북은 에어보다 배터리 사용 시간이 짧다. 사실 맥북에 탑재된 코어M(TDP 4.5W)은 맥북 에어에 탑재된 U계열(TDP 7.5W) 인텔 코어 프로세서보다 전력을 더 적게 소모한다. 그러나 너무 얇게 설계되다 보니 배터리를 탑재할 공간 자체가 적어서 발생한 결과다.

그러나 이는 비교하자면 그렇다는 것이다. 배터리 사용시간이 13인치 에어와 비교하면 짧은 것은 사실이지만 충전없이 하루종일 쓰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 씨넷이 직접 테스트한 맥북의 동영상 연속 재생 시간은 11시간 3분이다. 아울러 와이파이와 연결해 동영상 연속 스트리밍을 한 결과는 약 5시간 정도였다.

애플이 공식적으로 밝힌 맥북의 배터리 사용시간인 최소 10시간보다는 실제 테스트 결과가 더 잘 나왔다. 또한 이는 같은 코어M을 탑재한 레노버 요가3 프로(5시간 30분), 에이수스 T300 Chi(5시간 30분), 삼성 노트북9(7시간 30분)을 크게 앞서는 수치다.

다만 5세대 인텔 i5 코어 프로세서, 코드명 브로드웰이 탑재된 13인치 맥북 에어(18시간)나 13인치 맥북 프로(15시간)와 같은 미칠듯한 배터리 사용시간을 가진 다른 맥북 라인업과 비교하면 다소 초라해지는 것은 사실이다. 애당초 맥북의 경쟁 상대는 다른 맥북 라인업이지 윈도 노트북은 아니다.

성능 면에서 맥북은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프로는 커녕 에어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파이널컷 프로나 로직 프로와 같은 무거운 프로그램만 아니라면 대부분 OSX 지원 앱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즉, 애플은 일반 사용자에게 필요한 성능의 상한선을 레티나 디스플레이 환경 아래에서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판단한 듯 하다.

키보드와 포스터치 트랙패드

맥북은 휴대성 면에서는 완벽이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다. 내구성은 둘째치고서라도 이보다 더 얇고 가볍게 만들기는 사실상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두께가 얇아진 만큼 키보드가 주는 키감이나 확장 포트의 부족함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기에 충분하다.

우선 키감이 매우 얕다. 두께가 워낙 얇다 보니 충분한 깊이감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애플은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키가 눌리는 방식 자체를 새롭게 고안했다. 기존 X자 형태의 매니즘을 완만한 V자 형태로 바꿔 가장자리를 눌러도 온전하게 입력되도록 했다. 여기에 개별 키의 면적 자체도 15% 가량 커졌고 충분한 내구성을 위해 내부 부품조차 플라스틱이 아닌 금속을 사용했다.

애플의 이러한 세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처음 맥북의 키보드를 눌러보면 꽤 당황하게 된다. 일주일 가량 맥북 키보드에 적응해보려 했지만, 결코 쉬운일은 아니었다. 느린 속도로 타이핑을 하면 키가 얕은 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조금만 빨리쳐도 기존 키보드를 사용한 습관이 그대로 드러나면서 빈번하게 오타를 낸다. 물론 서피스나 여타 태블릿용 키보드 케이스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쓸만하지만, 적응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키가 제대로 눌렸는지는 머리가 아닌 손 끝으로 아는 것이다. 그 느낌을 빨리 잡아야 불편함 없이 쓸 수 있다. 적응하면 괜찮다는 말은 리뷰어로서는 대단히 무책임한 말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절대적인 기준에서 맥북의 키보드에 좋은 점수를 주기는 어렵다. 다만 상대적으로 그 얇은 두께에 저만큼 안정적인 키감을 구현해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포스터치는 맥북의 핵심 기능이자 앞으로 애플이 터치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을 잘 보여준다. 기존 맥북 계열의 트랙패드는 충분히 편리했다. 한번 익숙해지면 매우스가 없어도 불편함을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다. 포스터치는 트랙패드를 마우스보다 더욱 편리하게 해준다. 압력을 감지해서 가볍게 누르는 것과 지긋이 무겁게 누르는 것을 구분해낸다. 이를 통해 기존 제스쳐 입력 이외에 또 한 가지 옵션을 선사한다.

예를 들어 웹 서핑시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글자를 드래그한 다음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누리고 사전에서 찾기를 눌러야 했다. 그러나 포스터치에서는 그 단어를 깊게 누르는 것 만으로 바로 사전을 열어 뜻을 보여준다. 무려 세 번의 동작을 한번으로 줄이는 것이다. 그외에도 앱에 따라 상당히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포스터치는 그 자체로도 훌륭한 발상이지만, 맥북과 같이 얇은 제품을 위한 설계이기도 하다. 기존 트랙패드로는 두께가 충분하지 않아 가장자리를 눌렀을 때 충분한 깊이를 확보할 수 없다. 그러나 포스터치는 눌리는 느낌을 햅틱 기술을 통해 가상으로 구현해냈다. 따라서 맥북 전원이 꺼졌을 때는 눌리는 느낌이 전혀 나지 않는다.

이미지 주석

결론 : 세계 최초 100% 무선 노트북

지난 3월 9일 애플이 개최한 미디어 이벤트 ‘스프링 포워드’에서는 새로운 맥북의 발표가 채 끝나기도 전에 인터넷 상에 불만이 쏟아졌다. 인텔 코어M의 성능에 대한 의구심과 짧은 배터리 시간, 너무 얕은 키보드 키감, 눈속임 같은 가상 클릭 터치패드 등이 그것이다.

그중에서도 논란의 중심은 확장 포트의 부재였다. 맥북이 가진 확장 포트는 오로지 USB 3.1 타입C 한개 뿐이다. 그마저도 충전 중에는 사용할 수 없다. 애플이 자랑하는 맥세이프를 쓸 수 없는 것은 둘째치고서라도, USB 3.1 타입C 규격 자체도 변환 젠더가 없으면 거의 쓸 수 없을 정도로 여전히 대중적이지 않다.

그것은 마치 2010년 아이패드가 처음 발표될 때를 떠올리게 할 정도였다. 충전 중에는 유선 마우스 조차 쓸 수 없고, 흔하디 흔한 USB 메모리 스틱 조차 변환 젠더가 없으면 당장 사용할 수 없다. 대형 TV나 프로젝터와 연결하려고 해도 또 다른 변환 젠더가 필요하다. SD유선 인터넷 단자는 맥북 이전부터도 없었으니 아예 논외다.

“맥북은 원래 그렇게 쓰는겁니다.”

한 자동차 회사의 광고 문구처럼 맥북은 원래 그렇게 쓰라고 만들어진 제품으로 보인다. 유선 친화적인 발상으로는 맥북을 쓸 수 없다. 그러나 발상을 전환해 무선의 관점으로 보면 답이 보인다.

마우스가 꼭 필요하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마우스를 쓰면 된다. 인터넷은 아이폰과 테더링 하거나 혹은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USB 메모리 스틱 대신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쓰면 된다. 맥북이 필요로 하는 선은 오직 전력을 공급받는 것 뿐이다. 이 역시 배터리 사용시간의 증가로 사용할 때마다 충전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처럼 저녁에 100% 충전해서 하루종일 쓰는 형태로 사용하면 된다.

애플이 맥북을 통해 하고 싶은 이야기는 바로 이 지점이다. 노트북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처럼 쓰라는 것이다. 이미 현 세대 우리가 가진 기술은 그것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당장은 익숙치 않다. 오랫동안 노트북을 평가하는데 있어 확장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그것은 2000년 이후 노트북이 서서히 데스크톱PC를 대체해 왔기 때문이다. 즉, 노트북이 얼마나 데스크톱PC를 잘 대체할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평가한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애플은 또 한번 패러다임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선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노트북이다. 마치 LTE를 넘어 5G 도입이 논의되는 시대에 더 이상 선에 갇혀 있을 이유가 없다고 말하는 듯 하다. 물론 맥북은 현 시대 사용자들의 관점에서 지나치게 앞선 제품이다. 사용자 환경에 따라 당장은 맥북 에어나 프로가 더 나은 선택일수도 있다.

그러나 수 년 후가 지나면 지금 애플이 제시한 맥북의 형태를 다른 노트북 제조사들이 앞다퉈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아이패드를 비웃은 그 많은 기업들이 뒤늦게 태블릿 시장에 뛰어들었던 것처럼 말이다.

상세 정보
프로세서 인텔 코어M 1.1/1.2GHz

Tags